부산 동백전 선불카드 발급 후기를 써보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동백전은 총 5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부산 체크카드, 부산 선불카드, 하나 체크카드, 농협 체크카드, 코나선불카드
저는 2번째의 부산 선불카드를 발급 받았는데 이에 대한 후기를 간단히 써보겠습니다.
먼저, 휴대폰에서 동백전 어플을 다운받고 회원가입을 하였습니다.
회원가입 후, 동백전 어플 내에 카드신청 메뉴가 있으니 신청을 하면 됩니다.
(카드를 빨리 받고 싶으면, 동백전 회원가입만 하고 부산은행에 직접 방문하면 됩니다.)
저는 목요일에 카드를 신청하였고 빨리 오기를 기도하고 있었는데 다행히 토요일에 배송이 왔습니다.
신청하고 2일만에 도착을 했는데 생각보다 너무 빨리 받았네요.
그런데 카드라 그런지 배송원이 카드를 배송하면서 기계에 생년월일을 입력하고 서명까지 하더라구요.
본인이 직접 수령이 힘들다면 카드배송을 받기 힘들 수도 있을 거 같더라구요.
동백전 어플에서 카드를 신청하면서 "타인 수령 가능"에 체크를 한 기억이 나는데
타인이 수령 가능할 거 같기도 합니다. (확실하진 않아요)
동백전 선불카드도 체크카드처럼 일반결제와 교통카드 기능이 가능합니다. (단, 혜택에 차이는 있어요)
저는 교통카드 기능으로만 이용할 생각으로 발급하였습니다.
대중교통 이용을 위한 충전 방법에는 3가지고 있다고 하네요.
- 지하철 충전소
- 편의점
- 이즐충전소 어플
저는 지하철에서 직접 충전을 하였습니다.
충전 기기에 카드를 올리고 돈을 넣고 충전을 하면 됩니다.
그리고 동백전 어플에서 충전한 5만원이 반영되나 봤는데, 바로 반영되지는 않더라구요.
일요일에 5만원을 충전하고, 부산 지하철 3호선과 동해선을 환승하였거든요.
그럼 1600원 + 400원으로 2000원이 사용을 하였습니다.
이 내용이 2일 뒤인 화요일 오전에 반영이 되던데
일단 1600원을 사용했다는 내용만 나오고, 5만원을 충전했다는 내용은 나오지 않더라구요.
어쨌거나 동백전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해본 후기였습니다.
그리고 링크는 부산광역시 동백패스 안내페이지입니다.
https://www.busan.go.kr/depart/dongbaegpass
아래는 동백전에 대한 설명자료를 정리하여 올린 것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동백전이란
부산시의 상징화인 동백꽃과 화폐를 의미하는 전을 합성해 만든 부산지역화폐의 명칭입니다.
소상공인과 시민, 전통시장이 함께 상생하고 협력하며 소비의 선순환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로 100(백)가지 행복과 즐거움을 준다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발행주체 : 부산광역시
유효기간 : 발행일로부터 5년
사용처 : 사업장이 부산광역시인 신용카드, IC카드 단말기를 사용하는 가맹점
(단, 2020. 7. 2. 지역사랑상품권법 시행에 따라 6월말까지 부산시에 동백전 가맹점 등록 신청을 완료한 가맹점)
제한업소 : 대형백화점, 대형마트, 기업형 슈퍼마켓 (SSM) 온라인 가맹점, 프랜차이즈 직영점, 주소가 부산이 아닌 사업장 등
고객센터 : 1577 - 1432
동백전의 혜택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동백전 지역화폐로 결제 시, 캐시백과 상생 가맹점 현장 할인 제공
- 결제 즉시 캐시백 적립 5%
- 동백전 상생 가맹점에서는 현장 할인
2. 연말정산 시, 현금과 같은 30% 소득공제
- 체크카드의 경우 : 별도의 신청없이 사용하신 금액에 대해 30%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충전형 선불카드의 경우 : 카드발급사(코나아이)를 통해 소득공제를 신청합니다. (코나아이 고객센터 : 1566-9597)
- 전통시장에서 사용 시 40% 소득공제가 적용됩니다.
동백전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동백전 어플에 회원가입을 합니다.
2. 카드 신청 및 등록을 합니다.
- 이용경로 : 동백전 어플에서, 내지갑 => 카드 신청
- 동백전 체크카드는 별도의 카드 등록없이 바로 이용 가능합니다.
3. 충전을 합니다.
4. 사용을 합니다.
'경제와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TV포인트와 핏콜라보에 대해 알아보기 [BTV 포인트 전환, TV포인트 사용처] (2) | 2024.07.26 |
---|---|
자식에게 주는 용돈/전세자금 증여세 내야 할까? [증여세 공제 5천만원] (1) | 2023.12.18 |
삼성전자 말고 ETF 사라고? ETF가 뭔지 뭐가 좋은지 알아보자 (0) | 2023.12.06 |
주택담보대출을 할까, 말까? 주택담보대출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11.29 |
부동산 전세와 매매. 둘은 어떤 관계일까? (1) | 2023.11.28 |